저위험펀드로 피신 은행서만 13조 팔았다

저위험펀드로 피신 은행서만 13조 팔았다

저위험펀드로 피신 은행서만 13조 팔았다

AI 빅뱅 타고 텐배거 노린다 캐나다산 핵발전株 카메코

채권이나 미국 대표 주가지수 등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작은 펀드를 판매하는 은행에 작년에만 13조원 넘는 자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증시와 가상자산에 직접투자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은행에서 판매하는 비교적 안전한 펀드를 통해 투자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시중은행은 재작년에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사태 등이 있었기에 저위험 펀드 상품 위주로 적극적인 판매에 나서고 있다.

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펀드 수신 잔액은 73조596억원이다.

전년 말 59조9957억원에서 20%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예금 잔액이 10% 증가하는 데 그치고, 적금 잔액이 13%가량 빠진 것과 달리 펀드 투자는 크게 늘어난 것이다.

4대 은행의 연말 기준 펀드 잔액이 70조원을 넘은 건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은행 펀드는 고액 자산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다가 2022년에만 자금이 13조원가량 이탈하는 등 외면받았다.

ELS 사태 등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미국 주식시장 강세 등으로 은행을 통한 간접투자보다 직접투자가 낫다는 판단이 확산된 것도 한몫했다.

지난해 다시 은행 펀드의 인기가 상승한 건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금리가 정점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한국은행도 지난해 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 인하하는 등 예금의 매력이 급속도로 떨어졌다.

이에 은행은 예·적금 중심의 거액 자산가와 법인 고객 등을 대상으로 안정성이 높은 펀드 상품을 추천하며 집합투자 판매 증대를 이뤘다.

은행에서 많이 판매되는 펀드는 주로 채권형이다.

채권형 펀드는 수익률이 예금보다 높지만 주식처럼 변동성이 크지 않다. 전년 말 59조9957억원에서 20% 늘어난 수치다.

1년 만에 펀드 잔액을 35% 늘린 하나은행 투자상품부는 “최근 은행에서 펀드 판매가

증가한 것은 단기채·채권혼합형 등 채권 중심의 상품 판매 확대에서 비롯됐다”며

“글로벌 증시 호황에 대한 고객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공모주 관련 상품을 일부 포함하는 채권혼합형 상품도 발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채권형 펀드는 수익률이 예금보다 높지만 주식처럼 변동성이 크지 않다.

채권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중장년 고객들은 S&P500 등 해외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에도 많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증권사를 통해 해외 상장지수펀드(ETF)를 사지 않고, 은행을 통해 간접투자를 하는 건 거래 편의성 때문으로 분석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