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쇼크 이후 EU로 향하는 물동량과 해상운임의 변화
트럼프 쇼크 이후 EU로 향하는 물동량과 해상운임의 변화
트럼프 쇼크 이후 EU로 향하는 물동량과 해상운임의 변화
고려아연과의 경영권 분쟁 민주당의 해외 순환출자 금지 법안 발의
최근 상하이발 유럽 노선의 해상 운임이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이 5일에 기본 관세를, 9일에 이어 상호 관세를 확정하며 관세 압박을 본격화한 결과, 많은 화물이 미국 수출 대신 유럽으로 방향을 틀었기 때문입니다.
한국해양진흥공사 관계자는 “유럽 지역의 운임 변동은 최근 큰 하락세를 보인 운임이 회복 중인 상황일 수도 있지만
동아시아에서 생산된 제품들이 미국에서 수요에 한계를 겪으면서 유럽이나 기타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이 계속적인 관세 부과를 예고하였고,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는 상호관세를 일시적으로
90일동안 유예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세 여파로 전 세계 물류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해상 운임도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죠.
특히 미국행 물동량이 줄면서 미국 노선의 운임은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유럽 노선은 반사 이익을 누리며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본이나 동남아시아 노선 운임도 관세의 영향권에 들면서 각기 다른 변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만이 상호관세의 타격을 입으면서 익수하면서 동남아시아 지역 등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우회 수출’하려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해진공 관계자는 베트남이나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를 통해 포장·조립한 뒤 미국으로 수출하는 형태가 많아질 수 있다며
실제로 최근 일주일간 동남아 노선의 운임이 445에서 448로 0.7%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에서 동아시아로 이동하는 운임도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상하이에서 일본 서안으로 향하는 운임은 일주일 사이 322에서 316로 1.9% 감소했고, 일본 동안으로 향하는 운임은 327에서 321로 1.8% 하락했습니다.
한국으로의 운임은 지난주와 같은 142로 유지되었습니다.
대형 원양 선사들인 HMM이나 머스크는 중·미 노선을 운항하면서 일본이나 중국 항구로 가야 하는 화물을 함께 실어 중국 혹은 한국에서 환적 후 최종 목적지로 보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환적 화물은 한국의 중소 해운사들에 외주를 주어 주요 운송을 맡기는데, 최근 이 같은 물량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북미 노선의 운임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진공은 11일 분석 보고서에서 “90일 동안의 유예 조치로 단기적으로 중국발 선적이 급감하고, 다른 지역의 미국행 화물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하지만 다른 국가의 물량 증가분이 기존 중국발 물량을 대체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물동량 중에서는 중국발 북미향 비중이 55%에 달한다고 합니다.
국내 제조기업들은 올해 초부터 미국의 관세 시행을 예상하여 밀어내기 물량을 어느 정도 처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