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퇴직으로 수천억 절감 신규 채용은 미비한 이 은행
희망퇴직으로 수천억 절감 신규 채용은 미비한 이 은행
희망퇴직으로 수천억 절감 신규 채용은 미비한 이 은행
희망퇴직을 통한 신규 고용 창출이 현재 금융업계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KB국민은행이 이와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다.
KB국민은행은 4대 은행 중에서 가장 많은 희망퇴직을 실시하여 막대한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에 비해 신규 채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3년 동안 KB국민은행은 총 2061명의 직원을 희망퇴직 처리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신규 채용은 단 1320명에 그쳤다. 이는 희망퇴직한 인원의 64%만이 신규 채용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2022년에는 600명을 채용했으나, 2023년에는 420명, 2024년에는 300명으로 신규 고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KB국민은행이 희망퇴직을 통해 새로운 인력을 채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KB국민은행 측은 “신입 행원 숫자는 매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특히 경력직 채용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신규 채용의 감소가 단순히 희망퇴직의 결과만이 아니라, 은행의 인력 운영 전략과도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4대 시중은행 중에서 희망퇴직 인원보다 신규 고용이 더 많은 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다.
신한은행은 지난 3년 동안 1107명을 희망퇴직으로 정리했지만, 같은 기간 동안 1280명을 신규 채용하여 긍정적인 고용 성과를 보였다.
또한, 하나은행은 1185명을 희망퇴직 처리하고 1160명을 새로 채용했으며, 우리은행은 1127명을 정리하고 1103명을 신규 채용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러한 결과는 각 은행의 인력 관리 전략과 고용 정책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대규모 희망퇴직에도 불구하고 은행 직원의 평균 연령이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3년 동안 2000명 이상의 직원을 희망퇴직으로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2024년 3분기 말 기준으로
직원의 평균 연령이 43.8세로, 2022년의 43.6세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한은행은 2022년 임직원 평균 연령이 42.7세에서 2024년 3분기 말에는 41세로 줄어드는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각 은행의 인력 운영 방식과 신규 채용의 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신한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들은 희망퇴직보다 신규 채용이 적어 평균 연령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은행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직원들이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이는 평균 연령을 낮추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금융업계의 인력 구조와 향후 고용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