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왜 높나 했더니 은행들 슬그머니 이것 올려 주머니 채웠다

대출금리 왜 높나 했더니 은행들 슬그머니 이것 올려 주머니 채웠다

대출금리 왜 높나 했더니 은행들 슬그머니 이것 올려 주머니 채웠다

4천억대 수당 퇴직금 재산정 나선 기업銀

주요 은행이 1년 새 가산금리를 크게 올리면서 전체 가계대출 금리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대 3배 확대됐다.

가산금리는 금융권이 기준금리 외에 리스크 프리미엄 등을 반영해 덧붙이는 금리로 은행의 이자 수익 원천이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회 인하했음에도 체감하기 힘들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나온 것은 가산금리가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국이 지난해부터 줄곧 강조해온 가계대출 억제 정책이 시중은행의 가산금리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2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신규로 내준 가계대출 평균 금리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2~40%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가산금리 비중이 13~25% 수준이었던 것에서 2~3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은행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한 이율로 가계에 대출을 내준다. 기준금리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나 금융채·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 등

은행이 자금을 조달할 때 활용한 금리를 의미하며, 가산금리는 은행이 자체적으로 책정한 금리를 뜻한다.

여기엔 리스크·유동성·신용 프리미엄, 자본·법적 비용, 업무원가, 기대이익률, 가감조정 전결금리 등이 반영된다.

지난해 말 한은이 2회 연속 기준금리를 내리며 기준금리가 총 0.5%포인트 인하됐지만,

은행이 이를 넘어설 만큼 가산금리를 올리다 보니 전체 가계금리는 낮아지지 않은 셈이다.

국민은행은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1년 동안 4.52%에서 4.49%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준금리가 3.82%에서 3.04%로 0.8%포인트가량 대폭 빠졌지만, 가산금리는 0.7%에서 1.45%로 2배 높아졌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금리가 외려 높아진 은행도 있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4.38%에서 4.9%로 상승했다.

기준금리가 3.79%에서 3.12%로 내려가는 동안 가산금리는 0.59%에서 1.78%로 3배 높아졌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작년 12월 가산금리가 2.09%로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가계대출 금리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19%에서 40%로 확대됐다.

하나·농협은행은 가계대출 금리가 그나마 떨어진 축에 속했지만, 가산금리가 전체 대출금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역시 30%를 넘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이 내준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2배가량 증가하며 30%를 넘나들었다.

12월 기준으로는 2021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담대는 대부분 은행 여신에서 80%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큰 대출로,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영향받는 가계도 많다.

각 대출에서 가산금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대부분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도 커졌다.

예금과 대출 금리 간 차이를 의미하는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고객에게서 조달한 돈에 얼마나 많은 이윤을 붙여 여신을 실행했는지를 보여준다.

1년 새 가계 예대금리차는 하나은행의 경우 0.53%포인트에서 1.19%포인트로 늘었으며, 신한은행은 0.43%포인트에서 1.01%포인트로 확대됐다.

시중은행이 가산금리 비중을 높게 가져가면서 개인은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에서는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라”고 은행에 잇달아 주문하기도 했다.

올 들어 1월에만 신한·우리·SC제일·IBK기업은행 등이 가산금리 인하에 나선 배경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지금 같은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이어간다면 소비자 개개인의 이자 부담이 실질적으로 축소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이 가계대출 수요를 관리하는 데에는 금리 인상만 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을 깐깐하게 관리하고 소비자에게 금리 인하 혜택도 제공하라는 건 다소 모순된 목표”라며

“대출 총량을 안정적으로 다루면서도 실수요자 이자 부담은 줄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점검 회의를 열고 올해 가계부채 관리 세부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인 3.8% 내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국은 지난해 8월 이후 커진 가계대출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는 금융권 전체를 대상으로 관리를 지속할 예정이다.

다만 지방 대출과 관련해 은행들의 목표치 도달 여부를 산정할 때 인센티브를 적용해 더 대출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3년째 대출을 줄여온 제2금융권에는 올해 대출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늘릴 수 있게끔 관리할 계획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