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낳으면 커리어 끊길까 겁나 일하는 30대 여성 늘었다
애 낳으면 커리어 끊길까 겁나 일하는 30대 여성 늘었다
애 낳으면 커리어 끊길까 겁나 일하는 30대 여성 늘었다
국내 30대 초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5년만에 8.8%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변화의 주요 요이은 ‘자녀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돼 마냥 환영할 상황이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
30대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거나 미룬데 따른 변화인데 이는 중장기적으로 ‘인구 절벽’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30일 한국개발연구원(KDI)가 공개한 ‘3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의 배경과
시사점’에 따르면 작년 기준 30대 초반(30~34세)인 1988~1992년 출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5.0%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2017년 당시 30대 초반(1983~1987년 출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6.2%였다.
이 같은 변화의 요인은 크게 △30대 초반 여성이 결혼·출산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현상과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여성이 늘어나는 현상 등 두가지로 분석된다.
문제는 전자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는 점이다. KDI 분석에 따르면 5년 사이 늘어난 30대 초반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폭 8.8%포인트 중 60%는 ‘유자녀 여성 비중 감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0%정도만이 ‘유자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활동’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여성의 생애주기 별 경제활동참가율은 M자곡선을 그린다.
30대에 출산과 육아로 인해 여성들이 노동시장으로부터 이탈하기 시작해 경제활동참가율이 하향하다가 어느 정도 아이가 성장한 뒤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며 상승하고 은퇴 시기에 하락을 거친다. 그런데 여성의 결혼과 출산 시기가 늦어지면서 M자 곡선이 완화되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저점에 도달하는 연령은 2017년 36세에서 지난해 38세로 늦춰졌으며 저점은 같은 시기 58.3%에서 2022년 61.2%로 상승했다.
자녀를 키우는 현실적 부담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상당 부분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다만 그러한 영향은 과거에 비해 옅어졌다. 2017년에는 30대 초반중 자녀가 없는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은 81.5%인 반면 자녀가 있을 경우 그 수치가 48.9%였다.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보다 경제활동참여율이 36.4%포인트나 낮았던 것이다.
반면 지난해 기준 30대 초반 여성들은 무자녀인 경우 경제활동참여율이 84.5%, 유자녀인 경우 54.9%로 그 차이가 28.2%포인트로 줄어들었다.
30대초반 여성들이 아이를 키우지 않으면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현상은 당장에는 노동력 감소 효과를 완화하는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다.
KDI에 따르면 앞으로 2028년까지 5년간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는 취업자 수를 매해 3만~4만명 감소시키는 반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은 매년 취업자 수를 4만명 정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런 저출산 현상은 중장기적으로는 노동력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은 “30대 유자녀 여성 감소가 현시점에서는 노동공급 둔화를 완화하고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생산가능인구와 노동공급 감소를 야기하면서 경제·사회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동향총괄은 “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 유연근무제 등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제도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