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기회복 확대 소비 건설투자는 부진
정부 경기회복 확대 소비 건설투자는 부진
정부 경기회복 확대 소비 건설투자는 부진
빚 빨리 갚으면 바보냐 한푼 아쉬운데 다행 총선용 신용 대사면 논란
정부가 민간소비 둔화와 건설투자 부진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경제 부문별 회복 속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12일 기획재정부는 ‘1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한국은 지난해 10월부터 수출이 플러스(증가)로 전환되면서 상승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반도체를 비롯한 국내 제조업의 수출이 살아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지난해 12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했는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5%로 증가폭이 컸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도 10일까지 수출이 11.2% 증가했다.
대중(對中) 수출은 2022년 5월 이후 20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대중 수출의 30% 정도가 반도체인데,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 대중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제 우려 요인은 남아 있다. 기재부는 이달 그린북에서는 지난달과 달리 ‘민간소비 둔화’라는 표현을 넣었다.
그만큼 올해 상반기는 고금리·고물가 상황과 관련해 민간소비가 부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또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를 비롯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함께 지난해 11월 건설 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29.5%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부동산 경기가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재부는 민생경제 회복에 최우선 역점을 두면서 부동산PF 잠재 위험 관리와 한국 경제의 역동성 제고 노력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열린 연구기관 토론회에 참석해
“최근 우리 경제는 높은 진입 규제, 성장 사다리 약화 등으로 혁신이 제약되고 산업·기업 전반의 역동성이 저하되며 잠재성장률이 지속 하락하고 있다”면서
“올해는 경제 재도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기로, 구조적 문제 해결과 역동성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자로 나선 고영선 KDI 부원장도 “디지털·녹색 전환을 통한 국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향상, 교육·노동개혁 등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올 상반기 중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경제 부문별 회복 속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12일 기획재정부는 ‘1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한국은 지난해 10월부터 수출이 플러스(증가)로 전환되면서 상승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반도체를 비롯한 국내 제조업의 수출이 살아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지난해 12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했는데,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5%로 증가폭이 컸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도 10일까지 수출이 11.2% 증가했다.
대중(對中) 수출은 2022년 5월 이후 20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대중 수출의 30% 정도가 반도체인데,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면 대중 수출은 플러스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제 우려 요인은 남아 있다. 기재부는 이달 그린북에서는 지난달과 달리 ‘민간소비 둔화’라는 표현을 넣었다.
그만큼 올해 상반기는 고금리·고물가 상황과 관련해 민간소비가 부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또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를 비롯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함께 지난해 11월 건설 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29.5%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부동산 경기가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재부는 민생경제 회복에 최우선 역점을 두면서 부동산PF 잠재 위험 관리와 한국 경제의 역동성 제고 노력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열린 연구기관 토론회에 참석해
“최근 우리 경제는 높은 진입 규제, 성장 사다리 약화 등으로 혁신이 제약되고 산업·기업 전반의 역동성이 저하되며 잠재성장률이 지속 하락하고 있다”면서
“올해는 경제 재도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기로, 구조적 문제 해결과 역동성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자로 나선 고영선 KDI 부원장도 “디지털·녹색 전환을 통한 국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향상, 교육·노동개혁 등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올 상반기 중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