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호황 바람 타고 산은 한화오션 지분 1조원 규모 철수
조선업 호황 바람 타고 산은 한화오션 지분 1조원 규모 철수
조선업 호황 바람 타고 산은 한화오션 지분 1조원 규모 철수
한국산업은행이 보유 중인 한화오션 지분 5973만8211주, 즉 19.5%를 매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00년에 산업은행이 대우중공업(현재의 한화오션) 지분을 확보한 이후 25년 만의 일입니다.
금융권의 소식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날 블록딜, 즉 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한화오션 지분 매각을 위한 수요 예측에 들어갔습니다.
산업은행은 수요 예측 결과를 토대로 한화오션 지분을 몇 퍼센트씩 나누어 여러 수요처에 매각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지분을 통으로 매각할 경우, 규모가 커서 적절한 수요처를 찾기 어렵거나 매수자가 한화오션의 2대 주주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산업은행이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K조선업의 호황으로 주가가 상승하면서 공적자금을 회수할 적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한화오션의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직전인 작년 11월 6일에는 주당 2만7800원이었으나,
올해 28일 종가 기준으로 주당 8만9300원까지 약 3.2배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현재 보유 중인 총 5조3000억원 이상의 지분을 장기적으로 모두 매각하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산업은행 내에서는 자산 건전성을 높여야 하는 필요성도 지분 매각 추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산업은행의 건전성 판단 기준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국내 20개 은행 중 가장 낮은 13.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비율이 추가로 하락하여 13.7~13.8%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당국에서는 BIS 자기자본비율을 13% 이상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산업은행은 수요 예측 결과를 토대로 한화오션 지분을 몇 퍼센트씩 나누어 여러 수요처에 매각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지분을 통으로 매각할 경우, 규모가 커서 적절한 수요처를 찾기 어렵거나
매수자가 한화오션의 2대 주주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산업은행이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K조선업의 호황으로 주가가 상승하면서 공적자금을 회수할 적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주식 보유량이 많을수록 위험자산에 대해 시가 대비 가중치(250%)를 부여하므로 자본비율이 낮아지는 구조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충격 극복을 위한 정책금융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기도 산업은행의 한화오션 지분 매각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한화오션의 최대주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작년 말 기준으로 23.14%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수관계인을 포함하면 한화그룹의 지분율은 46.28%에 이릅니다.
산업은행은 지난 25년 동안 한화오션에 약 7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2022년 일부를 한화그룹에 매각하여 약 2조원을 회수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