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람 없는 한국일터 외국인 유학생 키워서 귀하게 쓴다
한국사람 없는 한국일터 외국인 유학생 키워서 귀하게 쓴다
한국사람 없는 한국일터 외국인 유학생 키워서 귀하게 쓴다
정기검사 추적관찰 재검사 안 알려도 고지의무 위반 아냐
지난달 29일 안다즈 서울 강남.
파키스탄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 직원 아리스마 씨는 호텔 로비에서 방문객들을 응대하는 컨시어지 업무를 맡았다.
연말 연휴를 맞아 내국인은 물론 다양한 국적의 방문객이 호텔을 찾는 만큼 언어 장벽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리스마 씨는 백석대 글로벌호텔경영학과에서 2년간 관련 업무를 배웠기에 자신도 있었다.
그는 “외국인 직원이라고 외국인만 안내하는 것은 아니다”며 “학교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워 한국인 고객도 적극적으로 응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는 데 있어 수업 시간에 공부했던 내용이 도움이 돼 힘이 난다”면서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호텔리어로 경력을 쌓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안다즈 서울 강남은 아리스마 씨 같은 외국인 유학생 5명을 직원으로 채용하고 있다.
세종대나 백석대 등에서 호텔 관련 학과를 전공한 이들은 지난해 7월 단기 계약직으로 입사해 현재 객실부·식음료부·조리부에서 일하고 있다.
오는 3월이면 유학생 비자(D-2)로 일할 수 있는 기간이 만료되지만 호텔은 이들을 전문취업 비자(E-7)로 전환해 채용할 방침이다.
김상희 호텔HDC 통합인사부장은 “안다즈 서울 강남 외에도 호텔HDC가 운영하는 하얏트 호텔까지 포함한다면 외국인 유학생
직원 총 10명을 전문취업 비자로 전환해 고용할 계획”이라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이후 국내 호텔 인력 풀이
전반적으로 축소된 상황에서 외국인 유학생 채용 확대는 우수한 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산업 현장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채용 문턱을 낮춘 가운데 일선 현장에서는 양질의 인력을 확보하고자 외국인
유학생에 대해 취업 연계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소멸을 맞은 지역이 급격하게 늘면서 해당 지역 전문대를 비롯해 교육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외국인 유학생이 산업 현장에 가장 활발하게 투입되는 분야는 뿌리산업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14년부터 주조·금형·용접·소성가공·표면처리·열처리 같은 6대 뿌리산업 분야에서 기술인력을 양성하겠다는
목표로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연계하는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쌓았다.
외국인 유학생 직원을 고용한 기업들의 만족도도 높다.
학교에서 무엇을 배우더라도 별도로 현장 교육이 꼭 필요한 상황에서 언어능력을 갖춘 이들은 그 자체로 준숙련인력에 해당한다는 설명이다.
경기도 안산에 있는 한 자동자 부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현재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 출신 직원 6명을 고용하고 있다”며
“이들은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비숙련 외국인력(E-9)은 물론 같은 E-7 비자로 입국한 직원과도 업무 역량에서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한 언어능력은 중국 동포들이 더 좋지만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나 업무 태도는 오히려 유학생 출신
직원들이 높거나 좋은 경우가 많아 필수 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
법무부는 지역 대학 유학생이나 지역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5년 이상 체류하는 것을 조건으로 거주(F-2) 자격을 부여하는
‘지역특화형 비자제도’를 지난해 시범사업에서 올해 정규사업으로 재편했다. 고용노동부도 올해 외국인 유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일·학습 병행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당초 내국인을 대상으로 했던 이 사업은 기업이 청년 취업 희망자를 채용해 직무역량을 강화하는 일터 기반 학습 시스템이다.
다만 정부 지원사업이 다각화하면서 기존 사업 간 효율성 제고를 통해 시너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 사업’에 참여하는 한 대학 관계자는 “외국인 유학생이 3년 만에 5배나 늘어 학년 정원 100명을 돌파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이 프로그램은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숙련기능인력(E-7-4) 비자를 부여하고 있어 우수한 역량을 지닌 학생들을 오히려 제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전문인력(E-7-1) 비자를 비롯해 다양한 선택지를 만들어 취업 범위와 급여 수준을 차등화하는 방식으로 이 같은 부작용을 해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