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은행엔 좋은거 아니야? 저축은행 순이익 날아갔다는데

고금리 은행엔 좋은거 아니야? 저축은행 순이익 날아갔다는데

고금리 은행엔 좋은거 아니야? 저축은행 순이익 날아갔다는데

고금리 은행엔 좋은거 아니야? 저축은행 순이익 날아갔다는데

쥐꼬리 ODA 개도국 표 놓쳐 사우디에 맞설 전략도 약했다

고금리가 장기화됨에 따라 상위 5개 저축은행들의 올 3분기 당기순이익이 1년새 65%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고금리로 예치된 예·적금의 이자비용이 증가해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올 4분기에도 경기둔화가 예상되면서 저축은행들은 자체적으로 수신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30일 올 3분기 저축은행 경영공시에 따르면 자산 규모 상위 5개사(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6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1231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3분기 상위 5곳 중 3곳의 당기순이익은 1년 전보다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OK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6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5.8%(325억원)나 감소했다.

한국투자저축은행도 83억원을 기록해 1년전보다 65.2%(156억원) 하락했다.

저축은행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518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796억원)에 비해 35% 감소했다.

웰컴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2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9.4%(117억원) 줄어들었다.

상위 5개사 중 유일하게 당기순손실을 낸 곳은 페퍼저축은행이었다.

페퍼저축은행은 올 3분기 20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올 3분기 누적 600억원대의 손실을 나타냈다.

상위 대형 저축은행들의 실적이 이렇게 급감한 배경엔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있다.

작년말 고금리로 예치된 예·적금의 이자비용이 커지면서 저축은행들의 부담도 늘어났다.

한 저축은행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말 수신경쟁으로 예치된 예·적금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이 연 5.5% 정도로 높아 올 3분기까지 이자비용이 컸다”며

“올해말까지 4%대 초의 금리로 예금이 대체된다면 상황은 내년에 더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수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이날 은행·중소서민부문 주요 현안을 발표하며 “최근 저축은행의

수신감소는 작년 4분기 고금리 예금을 대체하는 수신전략에 주로 기인한 측면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경기둔화가 지속되면서 차주의 부실률이 높아지는 것도 순이익이 줄어든 이유다.

취약차주들의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은 차주의 연체 가능성이 커지면 충당금을 추가로 쌓아야 한다.

충당금 전입이 많아지면서 결국 상각비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3분기말 전국 저축은행 79개사의 연체율은 6.15%로 전분기보다 0.82%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들은 이에 자체적으로 여·수신 규모를 대폭 줄이며 버티기 전략에 돌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수신 규모는 지난해 12월 120조2000억원에서 올 10월말 기준 115조2000억원으로 5조원 줄었다.

Read more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타이머 작동 중 11.2조 보험금 이자 혜택 3년 뒤 소멸 DB손해보험이 미국의 자동차 보험 특화 기업 포르테그라(Fortegra) 인수를 위해 약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 보험업계가 해외에서 추진하는 인수·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