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양털깎기 , 본격화하나 영국 다음은 이탈리아?

미국의 양털깎기 , 본격화하나 영국 다음은 이탈리아?

미국의 양털깎기 ; '킹 달러'에 이어 미국의 '킹 GDP' 시대가 올 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나라들의 성장률은 갈수록 움츠러드는데 미국만 나홀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들은 킹달러와 에너지 위기로 신음하고 있는데 미국은 아랑곳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해외 부동산 원정 투자를 하거나 수입 물가가 떨어지는 것에 안도하고 있습니다.

[ 미국 한국차 보조금 , 없애더니…한국 반발에 “앗 뜨거” ]

감세 한 번 잘못 발표했다 죽다 살아난 영국의 위기가 어느 나라에서 재현될 지 모르는데 이 게 달러 패권 강화의 화룡점정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산유국들의 협의체 OPEC+ 회의도 미국의 독야청청을 확인시켜줄 가능성이 큽니다.

5일(현지시간)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대면회의를 열지만 그 주제는 침체로 인한 감산입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7일에 나올 미국의 9월 고용보고서는 "노동시장은 강력하다"는

미 중앙은행(Fed)의 믿음을 강화시켜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미국의 3분기 GDP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것이라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양털깎기

마이너스 성장 시대를 끝내고 세 분기만에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얘기죠.

이번 주엔 '나홀로 성장'을 하는 미국의 양털깎이가 본격화할 지와 영국이 진짜 '탄광 속 카나리아'가 될 지를 중심으로 주요 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마이너스에서 2.4% 깜짝 성장

지난달 30일 놀랄 만한 지표가 공개됐습니다. 시장은 크게 주목하지 않았지만 3분기 미국의 GDP 전망치입니다.

애틀랜타 연방은행의 성장률 예측 프로그램인 'GDP 나우'가 발표하는 수치입니다.

GDP 나우가 예상한 미국의 3분기 GDP는 2.4%였습니다. 불과 사흘 전인 지난달 27일엔 3분기 GDP를 0.3%로 예측했습니다.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1.7%에서 0.2%로 확 내린 것과 대조적입니다.

GDP 나우의 예측치는 미국 성장률과 관련해선 가장 공신력있는 수치입니다.

팬데믹 이전만 해도 오차가 0.3%에 불과했습니다.

2분기 GDP 전망 때도 월가 은행들은 모두 미국의 플러스 성장을 예상했지만 GDP 나우만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해 정확히 적중했습니다.

경쟁자로 뉴욕 연은의 '나우 캐스팅'이 있었지만 뉴욕 연은은 팬데믹으로 예상이

무의미하다며 지난해 9월 나우 캐스팅을 통한 GDP 전망을 중단했습니다.

성장률 예측의 지존인 GDP 나우가 갑자기 예측치를 8배로 올린 이유는 뭘까요. 그것도 불과 3일 만에 왜 이렇게 돌변했을까요.

GDP 나우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이 발표하는 3분기

개인소비지출이 0.4%에서 1.0%로 증가했다는 게 첫째 배경이었습니다.

그리고 3분기 실질 민간 국내총투자 증가율이 -7.6%에서 -4.2%로 개선된 게 둘째 이유였습니다.

이와함께 GDP 전망에서 순수출 기여도를 1.1%에서 2.2%로 늘린 것도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 추천사이트 보러가기 <<<

Read more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타이머 작동 중 11.2조 보험금 이자 혜택 3년 뒤 소멸 DB손해보험이 미국의 자동차 보험 특화 기업 포르테그라(Fortegra) 인수를 위해 약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 보험업계가 해외에서 추진하는 인수·

By 관리자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주4.5일 근무 시대 연다 새 정부의 도전적인 공약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열요금 인하 대책이 마침내 정책 시행을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 이르면 내년부터 제도가 시행될 전망으로, 정부는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