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시금치 등 채솟값 확 꺽였다 10월 생산자물가

배추 시금치 등 채솟값 확 꺽였다 10월 생산자물가

배추 시금치 등 채솟값 확 꺽였다 10월 생산자물가

배추 시금치 등 채솟값 확 꺽였다 10월 생산자물가

전기료도 못 냈던 이 요리 주말 대기 70팀의 인기 비결은?

여름철 폭염에 치솟았던 배추, 시금치 등 농산물 가격이 안정되면서 전체 생산자물가가 3개월째 하락했다.

다만,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탓에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국내공급물가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9월(119.16)보다 0.1% 내린 119.02(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석 달째 하락세다.

지난해 10월보다는 1.0% 올라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15개월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석유제품 생산자물가가 올랐다”며

“그동안 농림수산품 가격이 높았던 것이 음식료품 제조 원가 상승으로 작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10.5%)과 축산물(-9.1%)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8.7% 하락했다.

반면 공산품은 국제유가 상승 등 영향에 석탄및석유제품(2.0%), 음식료품(0.4%) 등을 중심으로 0.2%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도 산업용전력(2.7%), 증기(2.3%) 등이 오르면서 0.8% 높아졌다.

서비스업 역시 음식점및숙박서비스(0.5%), 부동산서비스(0.2%) 등이 올라 0.2%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배추(-46.1%), 시금치(-62.1%) 등 채소와 돼지고기(-16.7%), 닭고기(-7.8%) 등 축산물, 플래시메모리(-13.9%)가 많이 내렸다.

반면 우럭(30.0%), 혼합소스(9.1%), 김치(5.4%), 나프타(6.5%), 동1차정련품(5.1%), 호텔(5.5%), 전세버스(8.0%) 등은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석유제품 생산자물가가 올랐다”며 “그동안 농림수산품 가격이 높았던 것이 음식료품 제조 원가 상승으로 작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추, 시금치 등 채소류의 생육이 회복되고 축산물 도축량도 늘어나면서 농림수산품 가격은 비교적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한편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1% 올랐다.

원재료(-2.0%)가 하락했으나 중간재(0.4%)와 최종재(0.1%)가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2% 높아졌다.

농림수산품이 8.4% 내렸지만 공산품이 0.6%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10.5%)과 축산물(-9.1%)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8.7% 하락했다.

반면 공산품은 국제유가 상승 등 영향에 석탄및석유제품(2.0%), 음식료품(0.4%) 등을 중심으로 0.2%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도 산업용전력(2.7%), 증기(2.3%) 등이 오르면서 0.8% 높아졌다.

서비스업 역시 음식점및숙박서비스(0.5%), 부동산서비스(0.2%) 등이 올라 0.2%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배추(-46.1%), 시금치(-62.1%) 등 채소와 돼지고기(-16.7%), 닭고기(-7.8%) 등 축산물, 플래시메모리(-13.9%)가 많이 내렸다.

반면 우럭(30.0%), 혼합소스(9.1%), 김치(5.4%), 나프타(6.5%), 동1차정련품(5.1%), 호텔(5.5%), 전세버스(8.0%) 등은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팀장은 “수입물가는 통관 시점 기준으로 반영돼 10월 수입물가 상승은 같은달 국내 공급물가에 일부 반영되고, 11월 국내 공급물가에도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Read more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타이머 작동 중 11.2조 보험금 이자 혜택 3년 뒤 소멸 DB손해보험이 미국의 자동차 보험 특화 기업 포르테그라(Fortegra) 인수를 위해 약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 보험업계가 해외에서 추진하는 인수·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