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으론 노후 택도 없어 너도나도 이 사업 뛰어든다
국민연금으론 노후 택도 없어 너도나도 이 사업 뛰어든다
국민연금으론 노후 택도 없어 너도나도 이 사업 뛰어든다
직장인 A씨는 지난해 평택 국제신도시에 땅을 매입하면서 주택임대사업자로 법인 등록을 했다.
매입한 용지에 건물을 짓고, 인근 대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임대수익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A씨는 “월급을 아껴 모으는 것 만으로는 노후 대비 자금이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조금이라도 빨리 근로소득 이외 수입을 확보하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에 사업자 등록을 했다”고 말했다.
주택임대사업에 대한 젊은층 관심이 늘어나는 가운데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지난해 부동산 임대 사업체가 사상 최대 수준까지 늘었다.
12일 국세청이 발표한 ‘2023년 사업자 등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영업 활동을 하고 있는 가동사업자는 995만개로 1000만개에 육박했다.
특히 부동산 임대사업자가 243만1000개로 가장 비중이 컸다.
국내 전체 사업체 열곳 중 네곳(24.4%)은 부동산 임대업체라는 것이다.
서비스업(204만9000개·20.6%), 소매업(146만3000개·14.7%)와 음식업(82만·8.2%)이 뒤를 이었다.
임대업체는 부동산 가격 상승이 촉발된 2019년 200만곳을 넘어선 후 급격히 늘어 2022년 243만500개까지 늘었지만, 1년 만에 500개가 더 늘어 재차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고령층이 대거 임대업 문을 두드린게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신규 사업자 현황을 분석해보면 70대 이상이 창업한 사업체의 24.7%가 부동산 임대업체로 조사됐다.
소매업(16.9%), 서비스업(15.1%)을 제치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50~60대가 창업한 사업체 11~14%도 부동산 임대업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그동안 모은 자산을 바탕으로 임대시장으로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여성들이 임대업을 하는 사례도 많다.
지난해 여성이 운영하는 가동 사업체(401만8000개)는 사상 처음 400만개를 넘어섰는데, 이 중 부동산 임대업(116만4000개)가 가장 많았다.
국세청 관계자는 “30대 이하는 소매업을, 40~60대는 서비스업을 주로 창업하지만 70세 이상은 부동산 임대업 사업 위주로 창업에 나서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임대업체의 양적 증가는 급속한 저출생·고령화 현상의 한 단면인 것으로 풀이된다.
노후 소득 안전판인 국민연금 수령액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들이 사상 최대로 불어난 영향이 컸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경제활동에 나선 65세 이상 노인은 지난해 362만3000명으로 1년 새 7.7% 늘어 역대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었다.
노인들의 경제활동참가율도 38.3%로 사상 최대까지 올랐다. 노인 10명 중 4명은 돈을 벌기위해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29.6%에 그쳤지만 고령화 현상이 빨라지며 2020년 35%를 넘어서더니 지난해 40%에 육박했다.
앞으로 경제 활동하는 노인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 내년부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되는데 기대수명은 늘고 노인들이 노동 시장을 떠나는 연령대는 갈 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 은퇴 연령은 평균 72.3세로 법정 정년인 60세 보다 12.3세나 많아 OECD 38개국 중 가장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