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포스증권 인수로 증권 자문업 새 영역 열 것
우리금융 포스증권 인수로 증권 자문업 새 영역 열 것
우리금융 포스증권 인수로 증권 자문업 새 영역 열 것
“우리금융이 인수한 한국포스증권은 규모는 작지만 ‘펀드슈퍼마켓’이라는 플랫폼이 있어요.
그동안 각광받지 못했지만 이제는 다를 겁니다”
인수합병(M&A)의 귀재라 불리는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천신만고 끝에 찾아낸 증권사 매물이 한국포스증권이라는 점은 시장에선 ‘의외’였다.
한국포스증권은 온라인 전용 증권사이지만, 키움증권과 같은 리테일 파워가 없고
단지 ‘펀드슈퍼마켓’이라는 플랫폼만 갖고 있는, 성공했다고 보기 어려운 증권사기 때문이다.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 생각은 달랐다.
임 회장과 금융위 시절 같이 일하다가 작년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합류한 박 대표는 증권업의 본질이 ‘자문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정 증권사에서 만든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어떤 증권사 상품이라도 좋은 상품을 이른바 ‘하이마트’ 식으로 판매하되
이것을 고객의 상황과 원하는 결과물에 맞춰 제안하는 자문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최근 서울 중구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사무실서 매일경제와 인터뷰한 박 대표는 “우리나라 백색가전이 세계 1위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하이마트와 같은 판매 모델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물론 해외 가전 브랜드와도 엄청난
경쟁을 붙였기 때문”이라면서 “그런 점에서 지금은 실패한 듯 보이지만 포스증권의 펀드슈퍼마켓은 좋은 플랫폼이다.
비교하고 고르는 건 기존 플랫폼서 하고, 우리금융은 이걸 투자자 니즈에 따라 어떻게 구현할지 최상의 자문을 해주는 전문가를 키워내면 된다”고 설명했다.
박 대표가 말한 이 공식은 은행이나 보험 등 어느 금융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은행도 더 이상 상품을 판매하는 ‘창구’가 아니라 ‘종합자산관리(WM)’채널로 변모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같은 맥락이다.
제4인터넷은행 출범과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까지 겹쳐 시중은행의 ‘마진압박’이 더 거세질 수 밖에 없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박 대표는 “홍콩 H지수 ELS 사태로 이제 판매중심에서 자문중심으로 영업장식이 재편되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면서 “은행이 별도의 투자자문업에 진출하는 것도 검토할 만 하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의 핵심인 우리은행의 해외진출과 관련해서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은 동남에 편중이 심하고, 그 중에서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편중이 심하다”면서 “국가 다변화가 필요하다. 태국이나 말레이시아는 물론 아프리카나 남미시장 공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표와 욘구소는 일본은행들의 당기순이익 해외 비중이 40%를 넘어가는 상황에서, 이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보고서 준비도 하고 있다.
평생 관료로 살다 민간으로 이동, 취임 1년이 다 되어가는 박 대표는 기업문화에 가장 관심을 갖고 인사에 있어 평가와 보상 부분에서 가장 많은 공을 들였다.
승진정원 사전고지나 셀프 추천제도 등도 모두 이런 노력의 일환이다.
다만 최근 또 한번 터진 직원 횡령 사건은 뼈아프다. 박 대표는 “많은 노력을 했지만 기업문화가 1년 사이에 완전히 바뀌진 못했다.
5년, 10년을 내다보고 접근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