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실리콘밸리 ,韓으로 모이는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어떤 모습?
K 실리콘밸리 ;글로벌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사들이 한국 생산·연구기지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네덜란드 ASML,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와 램리서치, 일본 도쿄일렉트론 등
4대 반도체 장비사뿐만 아니라 일본 중소기업들도 한국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들에게 한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최대 생산 거점이다.
‘평택-화성-기흥-용인-이천’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클러스터가 글로벌 수준으로 올라설 것이란 기대가 모아지는 이유다.
21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ASML은 2024년까지 화성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약 2400억원을 투자해 극자외선(EUV) 장비 트레이닝 센터도 세울 계획이다.
ASML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극자외선(EUV) 장비의 최대 구매처 중 한 곳이 삼성전자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공정뿐만 아니라 메모리반도체 생산에도 EUV 장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ASML이 직접 한국에 EUV 장비 트레이닝 센터를 세워야 할 정도로 그 수요가 증가하는 셈이다.
세계 4대 반도체 장비사의 국내 투자는 이미 현재 진행형이다. 세계 1위 반도체 장비
업체인 미국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는 최근 경기도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짓기로 했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해 삼성 평택 공장 방문을 찾았을 때
바이든 대통령이 관심을 보인 반도체 장비 중 하나가 어플라이드 제품이었다.
세계 3위 반도체 장비 기업인 미국 램리서치는 지난 4월 경기도 용인
지곡산업단지에서 최첨단 R&D 시설인 코리아테크놀로지센터(KTC)를 열었다.
램리서치가 아시아에 짓는 첫 R&D 센터로, 3만㎡ 규모에 최대 50개 장비가 들어가는 클린룸을 보유했다.
세계 4위 장비 업체인 일본의 도쿄일렉트론(TEL)도 1000억원을 들여 화성의 R&D 시설을 대규모 증축한다.
K 실리콘밸리
내년 10월까지 지상 6층, 연면적 1만평 규모의 첨단 R&D 센터를 준공할 예정이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사들도 한국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미 EUV 감광재 전문기업 도쿄오카공업(TOK)은 인천 송도에 공장을 세웠다.
반도체 화학공정 특수가스 제조사인 간토덴카공업도 천안으로 공장을 이전했다.
반도체용 필름제조업체인 다이요홀딩스는 충남 당진에 터를 잡았다. 다이킨공업, 쇼와덴코 등
일본 반도체 관련 기업들도 당진과 평택 일대에 투자를 결정했다.
반도체 장비 업체들의 행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하면서 한국에 투자한다는 명분도 챙기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 라인은 대부분 한국에 있다.
특히 첨단 공정이 필요한 반도체는 모두 한국 공장에서만 만든다. 혹시 모를 기술 유출 우려 등을 불식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7나노 이하 초미세공정, EUV 공정 등을 한국의 기흥, 화성, 평택캠퍼스 등에만 도입했다.
SK하이닉스 역시 중국 우시에서 D램을 생산하고 있지만 EUV 공정을 적용한 D램은 이천 공장에서만 만든다.
청주는 낸드플래시를 중심으로 생산한다. SK하이닉스는 경기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도 착공을 준비 중이다.
글로벌 소재·장비 기업은 국내에 거점을 구축하면, 반도체 제조기업의 경우 글로벌 물류난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위험이 발생해도 소재·장비 수급에 치명타를 피할 수 있어 공급망 안정을 꾀할 수 있다.
더욱이 미국 업체들로선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으로 중국 반도체 업체들과 협력을 논의하기 어려워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만한 고객군이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