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금리인상 중단 요구 ...인플레 못잡고 경기침체 위험 키울 것"

UN 금리인상 중단 요구 ...인플레 못잡고 경기침체 위험 키울 것"

UN 금리인상 중단 요구 ; 유엔(UN) 산하기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에 금리인상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공급발 문제에 기인한 것인만큼 수요를 억제하는 금리인상으로는 결코 잡을 수 없고 장기적인 경기침체 위험만 키울 것이란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유엔무역개발기구(UNCTAD)는 3일(현지시간) 공개한

국제경제전망 연례 보고서를 통해 "Fed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급격한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경우 개발도상국에 심각한 피해를 줄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Fed의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될 경우 이후 3년간 다른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은 0.5%, 개도국 GDP는 0.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 K-반도체 , 악재 산더미인데…전기료 인상에 수천억 추가 부담 ]

또한 올 들어 이어진 Fed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개도국의 GDP는 향후 3년간 3600억달러 줄어들 것으로 봤다.

아직까지 Fed의 긴축이 멈출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향후 그 충격은 더 커질 것이란 게 UNCTAD의 진단이다.

레베카 그린스판 UNCTAD 사무총장은 현재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이

"개발도상국과 같은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해치고 있고, 글로벌 경제를 경기침체로 몰아넣을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UNCTAD에 따르면 지난 7월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리인상은 1970년대 초반 통계 집계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미 중앙은행인 Fed는 올해 3월 0.25%포인트를 시작으로 5월 0.5%포인트, 6월 0.75%포인트, 7월 0.75%포인트,

9월 0.75%포인트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와 함께 9월 회의에서는 올해 말 금리 중앙값을 4.4%,

내년 금리 중앙값을 4.6%로 상향하며 당분간 고강도 긴축이 지속될 것임도 재확인했다.

UN 금리인상 중단 요구

여기에 영국, 스위스, 노르웨이, 홍콩 등 주요국들도 일제히 금리 인상 속도를

끌어올리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도 점점높아지는 상태다.

최근 인도중앙은행은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이어 이제

세계 경제가 주요국 금리인상이라는 세번째 충격에 직면해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UNCTAD는 이러한 동시다발적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의 총책임자인 리처드 코줄-라이트는 "수요 측면의 솔루션으로 공급 측면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느냐"고 반문한 후 "매우 위험한 접근"이라고 꼬집었다.

팬데믹 등 공급발 문제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수요를 억제하는

금리 인상이 아닌, 공급을 확대하는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UNCTAD는 대표적 사례로 공급문제 해결을 통해 곡물 가격이 떨어졌다는 점을 제시했다.

앞서 지난 7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곡물 100만여t 수출에 합의하면서 세계곡물가격을 1.4%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일회성 횡재세 등을 도입해 주요 제품의 가격이 급격히 뛰지 못하도록 통제해야한다고 제안했다.

>>> 추천사이트 보러가기 <<<

Read more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글로벌 확장 나선 DB손보 2조원 들여 미국 보험사 인수전 타이머 작동 중 11.2조 보험금 이자 혜택 3년 뒤 소멸 DB손해보험이 미국의 자동차 보험 특화 기업 포르테그라(Fortegra) 인수를 위해 약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 보험업계가 해외에서 추진하는 인수·

By 관리자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난방비 절감 곧 현실화 열요금 인하 제도 최종 관문 통과 주4.5일 근무 시대 연다 새 정부의 도전적인 공약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열요금 인하 대책이 마침내 정책 시행을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 이르면 내년부터 제도가 시행될 전망으로, 정부는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