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의 정치금융 미국 물가 급등

파월의 정치금융 미국 물가 급등

파월의 정치금융 미국 물가 급등

어르신 마음 맘에 쏙 보험사가 내놨다는데

4월10일(미국시간) 발표된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CPI) 발표는 시장에 충격을 추기에 충분했다.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올라 2월(3.2%)보다 상승률이 0.3%포인트 높았다.

시장 예상치(3.4%)도 뛰어넘었다. CPI는 전달과 비교해서도 0.4% 올랐다. 역시 시장 예상치(0.3%)를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하고 계산한 근원CPI는 전년동월대비 3.8%, 전월대비 0.4% 올라 모두 시장 예상치를 0.1%포인트씩 넘었다.

근원CPI는 계절적인 요인이나 공급측면의 요인을 제외하고 경제내의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을 측정하는 지표다.

그만큼 사람들이 소비 지출을 늘려 물가를 끌어 올리고 있다는 얘기다. 경기 과열 국면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월말 개인소비지출(PCE)물가가 전년동기대비 2.8% 오른 것으로 집계된 것을 감안하면 이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PCE물가는 개인들이 실제 지출하는 품목의 가중치를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을 계산하는 것으로 연준이 금리정책을 펼 때 중요한 지표로 활용하는 자료다.

PCE물가 발표 후 파월 의장은 “우리가 원하는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CPI물가를 보면 시장이 미국 연준의 예상대로 움직이고 있지 않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물가 외에도 4월 들어 미국이 발표하는 대부분의 지표는 ‘매파적’이다.

연준이 기준으로 삼는 고용 지표중 하나인 비농업고용자수는 3월에 30만3000명 늘어 시장 예상치 21만2000명을 10만 명가량 웃돌았다.

비농업고용자수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3월 실업률도 3.8%를 기록하며 전달은 물론 시장 예상치(3.9%)보다 낮아졌다.

고용이 늘어나고 물가가 오르면 미국 연준 입장에서는 금리인하를 언급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대외적인 여건도 매파적이다. 3월 70달러 대였던 국제유가(WTI기준)는 4월 들어 80달러 후반까지 올랐다.

중동지역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란간의 전쟁 가능성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유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은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킨다. 한 마디로 지금 미국에서는 물가는 오르고 고용도 늘어나고 있으면서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은 한층 더 가중되고 있다.

이런 요인들을 감안하면 연준이 금리를 내리는 것은 명분도 없고 실리는 더더욱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시장은 계속 올해 금리 인하를 예측하고 있다. 올해 1월에 시장은 연준이 연내 6차례 정도 금리를 내릴 것으로 봤다.

처음으로 금리를 내리는 시점도 3월로 예측했다. 이런 예상에는 파월 의장의 지난해 12월 발언이 결정적이었다.

파월 의장은 당시 “금리 인상은 더 이상 기본정책이 아니다”, “금리인하가 12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논의 주제였다”는 등의 비둘기파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지난해 12월에도 물가는 높았고 고용은 호조였던 점을 감안하면 파월 의장의 발언은 조금 이해가 안가는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시장은 이 발언 이후 2024년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였고 인하 횟수를 계산하기에 바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