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고깃집 70년 중식당 ‘눈물의 폐업’ 미래유산도 쓰러졌다

60년 고깃집 70년 중식당 ‘눈물의 폐업’ 미래유산도 쓰러졌다

60년 고깃집 70년 중식당 ‘눈물의 폐업’ 미래유산도 쓰러졌다

순식간에 10조 더 늘었다 1순위로 꼽은 ‘한국 문제’

60년 된 ‘통술집’ 간판을 떼던 지난해 1월, 사장 고수덕(86)씨는 이삿짐을 두 번 쌌다.

한 번은 가게 짐, 또 한 번은 본인의 이삿짐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밀린 임대료와 수십 년 일한 직원에게 줄 퇴직금은 상상초월이었다.

20년 살았던 서울 서대문구 아파트를 팔고서야 겨우 빚잔치가 끝났다고 했다.

고씨는 “60년 장사했는데, 빚만 남았다면 거짓말인 줄 안다”면서 “서울 강서구의 조그만 전셋집으로 이사한 후에 직원들이 찾아와

‘힘들다고 해도 이 정돈지 몰랐다’며 안타까워 하더라”고 말했다.

60년을 바친 가게의 마지막 날을 이야기하며 고씨 눈엔 눈물이 살짝 맺혔다.

1961년 서대문 로터리 부근에 자리 잡은 통술집은 인근 회사원의 구내식당 같은 곳이었다.

상업가가 발달하지 않은 서대문구 특성상 단골은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주변 회사원이었다.

싼값에 돼지고기에 소주까지 곁들일 수 있다고 소문나자 가게를 넓힐 정도로 장사가 잘됐다.

2016년에는 서울시가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했다.

60년 통술집을 무너뜨린 것은 코로나19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에도 주머니 사정이 궁한 샐러리맨 발길이 끊기지 않았던 곳이다.

고씨는 “코로나19로 장사를 못 하게 되니 월 1000만원 임대료가 1년 넘게 밀리고, 인건비도 감당 안 돼 항복했다”면서

“장사 마지막 날, 경북 김천에서 찾아온 옛날 단골에게 제값 다 받은 게 후회된다. 어차피 나는 적자인데 서비스나 줄걸”이라고 했다.

서울 동작구의 70년 전통 중식당 대성관도 지난해 문을 닫았다.

해방 직후인 1946년 중국 산둥성 출신 화교가 개업해 3대가 걸쳐 한 자리에서 영업을 해왔다.

이런 역사 덕에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임대료와 원재료·인건비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문을 닫았다.

대성관 인근 부동산중개업자는 “대성관 건물은 재개발돼 신축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했다.

자영업이 무너지고 있다. 갈수록 나빠지는 경영환경에 코로나19가 결정타가 됐다.

최근 고물가와 높아진 이자 부담도 이들을 힘들게 한다.

특히 수십 년 동안 숱한 경영 어려움을 이겨내고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 받은

‘노포(老鋪)’까지 문을 닫는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자영업 경영 환경이 좋지 않다는 방증이다.

23일 중앙일보가 서울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식당·상점 등 소상공인 관련 서울미래유산은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09개 지정됐다.

하지만 이 중 23개가 폐업했다. 경영악화로 폐업을 고민하는 가게까지 포함하면, 어려움을 겪는 가게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업력 20년 이상의 장수 기업 중 소멸기업(고용종사자가 없고, 매출이 잡히지 않는 곳)은 3만7000개로

2018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았다.

이 중 숙박 및 음식점업은 2256개로 역시 통계 집계 이래 최고 숫자를 기록했다.

하루에 약 6개 정도의 노포들이 사라진 것이다. 통계청이 집계한 수치는 2020년이 가장 최신 치다.

코로나19 피해가 본격 시작한 2021년이나 지난해는 사라진 가게들이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촌 명물거리의 터줏대감이던 복지탁구장, 서울 용산구에서 50년 넘게 동네 주민들의 목욕을 책임졌던 원삼탕도 코로나19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문을 닫았다.

50년 된 종로구의 터줏대감 일광세탁소도 가정용 세탁기가 보급되고, 빨래방 체인이 늘면서 매출이 줄자 결국 물러줄 사람을 찾지 못하고 폐업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