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업체들 , 중국 꺾으려는 미국…고래싸움에 눈치만 보는 한국
[ 금리인상 경쟁; 고금리에 수시입출금 통장도 3%대…짭잘한 은행 이자?? ]
반도체 업체들;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법을 내놓은 데 이어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을 개별 기업에서 산업 전반까지 확대하고 있어서다.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사업 리스크 확대에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장기 전망에서 악영향이 우려된다.
그 사이 반사이익을 누리게 된 미국 반도체 업체들은 파상공세에 나서는 모습이다.
14일 반도체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상무부 허가 없이 14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 공정에서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내달 발표할 예정이다.
올해 초 반도체 장비 업체인 KLA, 램리서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 등에 장비 수출을 제한하는 서한을 발송한 데 이어 전체 반도체 장비 업체를 상대로 수출 제한을 확대하는 시도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엔비디아와 AMD 등 반도체 업체에 인공지능(AI)용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허가 없이 중국으로 반출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다.
이번 수출 규제에 이를 명문화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시스템 반도체를 포함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미국이 규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에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민도 깊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 각각 낸드플래시와 후공정(테스트·패키징) 공장을 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D램 공장, 충칭은 후공정 공장, 다롄에는 인텔에서 인수한 낸드플래시 공장이 있다.
주로 17㎚ 안팎의 장비를 사용하는 메모리 반도체 공장이다.
한국 반도체 업체들
14㎚ 이하 공정이 이뤄지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은 없기에 당장 현지 사업에 영향은 없다.
다만 향후 중국에서 첨단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긴 힘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달 미국에서 발효된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CSA)과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Chip4·한국 미국 일본 대만) 논의 역시 중국 사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지원법은 미국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 세액공제를 지원하면서 관련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향후 10년간 중국에서 투자할 수 없도록 가드레일 조항을 뒀다.
연원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경제안보팀장은 “미국이 중국 반도체 산업 견제를 지속해서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반도체 기업이 현재 갖는 장비로 (중국서) 생산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향후 생산 시설을 업그레이드해야 차세대 반도체를 만들 텐데 제약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도 장기 전망에선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하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사장)은 7일 평택 캠퍼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중 갈등으로) 중국 팹(공장)에 새로운 설비를 집어넣을 때
장기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중국이 전체 IT에 공급하는 비중이 40%가 넘어서 그런 시장을 (저희가) 놓치기 어렵고 중요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국내와 달리 미국 반도체 업계는 미 정부 지원에 힘입어 첨단 시설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반도체 지원법이 나오자 2030년까지 400억달러 투자를 예고하며 최근 미국 아이다호 보이시에 메모리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극자외선(EUV) 등 첨단 장비를 투입해 2025년 D램 양산에 나선다.